본문 바로가기
건강, 의학/용어 사전

아킬레스건의 정의, 구조, 질환, 관리 및 스트레칭 방법

by 8090 2023. 11. 22.
반응형

 

아킬레스건: 발건강의 핵심

아킬레스힘줄은 발뒤꿈치에 위치한 강한 힘줄로, 종아리 근육과 발뒤꿈치의 뼈를 연결하여 걷거나 뛸 때 발생하는 움직임을 돕습니다. 주로 걷기 시작하거나 높게 뛸 때 발을 땅에 디디는 행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

아킬레스건의 위치

양 발의 발뒤꿈치 바로 위에 위치합니다.

아킬레스건의 구조

아킬레스건은 종아리 근육인 하퇴삼두근에서 나타나는 힘줄로, 발꿈치뼈(종골)의 뒷부분에 달려 있습니다. 이 힘줄은 피부 아래에서 두껍게 만져지며 중요한 기능을 수행합니다.

아킬레스건의 기능

아킬레스건은 주로 발을 땅에 디디어 걷거나 뛸 때 몸의 움직임을 도와줍니다.
무릎을 안쪽으로 굽히면 종아리 뒤 근육(하퇴삼두근)이 수축하여 아킬레스건이 당겨지고, 발목을 아래로 움직이면 아킬레스건이 줄어들면서 종아리 뒤 근육이 수축합니다.

아킬레스건과 관련된 질환

아킬레스건은 체중 부하가 많은 부위로,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충격을 받을 경우 다양한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
주요한 질환으로는

  1. 힘줄염 (Tendonitis)
    • 정의: 아킬레스건의 힘줄이 염증을 일으키는 상태.
    • 원인 및 증상: 지속적인 과도한 사용, 부상, 무리한 운동으로 인해 발생하며 통증, 붓기, 열감이 나타남.
    • 치료법: 휴식, 얼음치료, 안마, 스트레칭, 물리치료, 항염제 등을 이용한 치료.
  2. 아킬레스건염 (Achilles Tendonitis)
    • 정의: 아킬레스건이 만성적인 염증을 가지는 상태.
    • 원인 및 증상: 반복적인 활동, 건강하지 않은 신발 착용으로 인해 발생하며 통증, 긴장, 붓기 등이 나타남.
    • 치료법: 휴식, 얼음치료, 스트레칭, 물리치료, 안마 등으로 치료.
  3. 아킬레스건 파열 (Achilles Tendon Rupture)
    • 정의: 아킬레스건이 일부 또는 완전히 파열된 상태.
    • 원인 및 증상: 급격한 움직임, 갑작스러운 활동으로 인해 발생하며 갑작스러운 통증, 이동 불가능, 붓기가 나타남.
    • 치료법: 보존적 치료(보행 부트, 보행기), 수술적 치료.

이와 같이 각각의 질환에 따라 적절한 치료법이 있으며, 정확한 진단과 전문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.
어린이의 경우에도 효과적이면서도 안전한 치료법을 통해 건강한 아킬레스건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.
 

아킬레스건 관련 운동 및 스트레칭 방법

 

아킬레스건을 유연하게 유지하고 건강을 지키기 위한 스트레칭은 전문적인 치료기관에서도 권장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. 다음은 아킬레스건 스트레칭 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입니다.

종아리 스트레칭:

  • 정의: 종아리 근육의 유연성을 높이고 아킬레스건을 효과적으로 스트레칭합니다.
  • 수행 방법
    • 선 자세로 서서 한 발을 뒤로 빼고 다리를 펴주세요.
    • 뒷발의 발뒤꿈치를 바닥에 고정시키고 앞발을 조금씩 앞으로 움직여 아킬레스건을 느낄 때까지 무리 없이 이동합니다.
    • 스트레칭을 유지한 채 천천히 척추를 펴주고 근육을 느끼면 몸을 앞으로 숙입니다.
    • 이 자세에서 15~30초 정도 유지한 후 반대쪽 다리로 전환하여 반복합니다.
  • 자세한 동작 설명과 주의 사항
    • 상기한 스트레칭은 몸에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 꾸준하게 수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    • 갑작스러운 움직임은 다칠 우려가 있으므로 천천히 움직이고, 통증이 나타날 경우 즉시 중단해야 합니다.
    • 스트레칭은 매일 꾸준히 하되, 과도한 강도로 인한 부상을 예방하기 위해 적절한 량으로 조절합니다.
반응형